2025/07/22 2

신혼부부 주거안정 정책, 출산장려정책과 연결될까

많은 청년 부부들이 결혼을 미루는 이유 중 하나는 높은 주거 비용이다. 한국처럼 집값이 높고 전세금 부담이 큰 나라에서는 주거 안정이 곧 결혼과 출산 계획의 가장 큰 변수로 작용한다. 정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 같은 다양한 주거 지원 정책을 운영해 왔다. 하지만 이 정책들이 실제로 출산장려정책과 효과적으로 연결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이 제기된다.전세자금 대출이 결혼은 가능하게 만들지만, 이후 출산과 육아까지 이어질 수 있는 환경을 충분히 제공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제는 단순한 대출 지원을 넘어 실질적 주거 안정과 출산장려정책이 함께 설계되어야 할 때다. 한국의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 출산장려정책 현황한국 정부는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한 전세자금 대출을 대표적인..

출산장려정책 2025.07.22

국공립 어린이집과 출산장려정책의 연결고리

한국 사회가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많은 출산장려정책을 쏟아냈지만, 아직까지 출산율 반등의 실질적 성과는 미미하다. 특히 많은 부모들이 출산을 주저하는 이유 중 하나는 ‘육아의 부담’이다. 그중에서도 보육시설에 대한 불안은 결혼과 출산 계획을 가로막는 현실적 장애물로 꼽힌다. 국공립 어린이집은 공공이 직접 운영하거나 지원하는 형태로 부모들의 양육 비용과 심리적 부담을 줄여주는 대표적인 출산장려정책이다.실제로 OECD 여러 국가들은 국공립 어린이집 확대를 출산장려정책의 핵심으로 두고, 이를 통해 여성의 경력 단절을 방지하고 가정의 육아 부담을 분담해 왔다. 이제는 한국도 국공립 어린이집의 수와 질 모두에서 실질적인 확충이 필요하다. 한국의 국공립 어린이집 출산장려정책 현황과 과제한국 정부는 지난 1..

출산장려정책 2025.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