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7 2

불임 치료 지원 제도의 확대 필요성과 출산장려정책의 역할

저출산 문제가 심각해질수록 정부는 다양한 출산장려정책을 내놓고 있다.하지만 여전히 많은 정책이 ‘출산 후 양육 지원’에 집중된다.정작 출산 자체를 가능하게 만드는 전 단계, 즉 임신 성공을 돕는 구조는 상대적으로 빈약하다.한국은 세계에서 손꼽히는 저출산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불임(난임) 부부 비율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보건복지부에 따르면 한국 신혼부부 중 약 10쌍 중 1쌍은 불임 치료를 시도한다.더 큰 문제는 이 과정이 개인의 경제력에 달려 있다는 점이다.불임 치료는 반복 시도할수록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의 비용이 든다.국가가 일부 건강보험 지원을 하고는 있지만, 실질적으론 치료 과정의 반복성과 긴 시간 때문에 많은 부부가 중도에 포기한다.결국 출산율 반등의 실마리를 찾으려면 불임 치료 지원 제도는 ..

출산장려정책 2025.07.17

다자녀 가족 세금 감면 제도는 효과적인가? 출산장려정책과의 연결 고리

한국은 세계 최저 수준의 출산율을 기록하고 있다.정부는 수십 년간 다양한 출산장려정책을 쏟아냈다.그중 하나가 바로 다자녀 가구에 대한 세금 감면이다.아이를 둘 이상 낳은 가정에는 소득세, 양도소득세, 취득세를 깎아주고, 일부 지자체는 추가 세액 공제를 제공한다.정부 입장은 분명하다.다자녀 가구에 세금 부담을 줄이면 부모의 경제적 불안을 덜 수 있고, 이는 둘째·셋째 출산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논리다.그러나 현실은 기대만큼 간단하지 않다.부모들은 실제 세제 혜택을 체감하기 어렵다고 토로한다.일부는 혜택이 있는지도 모르고 지나간다.또 어떤 부모는 ‘깎아줘도 실제 가계에 큰 도움이 안 된다’고 말한다.왜 이런 현상이 생기는 걸까?이 글에서는 유럽·북유럽과 비교해 한국의 다자녀 세금 감면 제도의 강점과 약점을 살..

출산장려정책 2025.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