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매년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막대한 세금을 투입하지만, 출산율은 OECD 국가 중에서 여전히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정부는 각종 출산지원금과 육아휴직 제도를 확대하며 출산율을 높이려 하고 있지만, 정책의 실효성에 대한 회의적인 시선이 적지 않다.반면 프랑스는 한때 낮은 출산율로 고민했지만, 적극적인 가족 복지 정책으로 OECD 평균 이상의 출산율을 유지하는 대표적인 국가로 꼽힌다.한국보다 먼저 저출산 위기를 겪었던 프랑스가 어떻게 출산율 반등에 성공했는지를 살펴보면, 단순한 현금 지원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이 글에서는 한국과 프랑스가 각각 어떤 방식으로 출산 장려 정책을 설계했는지, 어떤 차이가 성과의 차이를 만들었는지를 구체적으로 비교해보고자 한다.또한 한국이 프랑스의 사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