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여러 나라의 저출산 문제를 살펴보면, 공통적으로 중요한 해법으로 꼽히는 것이 바로 육아휴직 제도다.육아휴직은 부모가 출산과 동시에 일시적으로 경력을 멈추고 아이를 돌볼 수 있도록 국가가 보장하는 대표적인 출산장려정책이다.하지만 육아휴직 제도는 각국의 사회·문화·노동 환경에 따라 구조가 크게 다르다.특히 육아휴직 ‘기간’과 ‘급여 수준’은 부모의 육아휴직 사용 여부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다.북유럽처럼 긴 기간과 높은 급여를 보장해 남성까지 적극 활용하도록 설계된 사례가 있는가 하면,미국처럼 육아휴직 자체가 무급이거나 국가 차원의 지원이 거의 없는 경우도 있다.이 글에서는 OECD 주요 국가들의 육아휴직 기간과 급여 수준을 비교해 보고,이러한 차이가 각국 출산장려정책의 성패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본..